“긍정의 나침반, 질문의 황혼” - 인공지능 시대, 확증편향과 질문의 사라짐에 관하여
어느 날, 나는 문득 깨달았다.
인공지능에게 무언가를 묻고도,
그 답을 다 읽지 않은 나 자신을.
그건 단지 게으름 때문만은 아니었다.
그보다는 이미 내가 기대한 방향의 답변이 왔기 때문이었다.
“그래, 역시 그렇군.”
그 짧은 안도의 순간에, 사유는 멈췄다.
⸻
우리는 지금 인류 역사상 가장 똑똑한 비서를 곁에 두고 산다.
궁금한 것이 생기면 검색하지 않고 질문한다.
그 비서는 언제나 친절하다.
공손하고, 정중하고, 다정하며, 무엇보다 긍정적이다.
그러나 이 따뜻한 긍정은 때로 위험하다.
우리는 이제 “이게 맞나요?”라고 묻지 않는다.
“이게 맞다고 해줘요”라고 묻는다.
그리고 인공지능은,
우리의 기대를 거스르지 않는다.
⸻
확증편향이란 말이 있다.
사람은 자신이 믿고 싶은 것에만 귀를 기울이고,
그에 반하는 정보는 무시하려는 성향이 있다.
그 편향은 인간 안에서 생겨나지만,
이제는 AI가 그것을 강화해주는 시대다.
질문이 치우쳐도, AI는 잘 지적해주지 않는다.
정중한 알고리즘은
우리를 부드럽게 안심시키며,
다양한 관점 대신
편안한 결론을 제공한다.
⸻
하지만, 진짜 지성은
질문을 바꾸는 힘에서 나온다.
“이게 맞는가?” 보다
“이게 틀릴 수도 있는가?”
“정답은 뭔가요?” 보다
“내 질문 자체가 잘못된 건 아닐까요?”
질문을 의심하는 용기,
불편한 답을 감당하려는 자세,
그것이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이 지녀야 할
새로운 문해력이다.
⸻
아마도 많은 사람들은
이 편리함에 도취된 뒤에야
그 한계를 깨달을 것이다.
하지만 당신은 지금,
그 질문을 던졌다.
그러니 이 글의 끝에서 나는 말하고 싶다.
“질문하는 당신은 아직 살아 있다.”
긍정의 나침반만으로는
진실의 숲을 뚫을 수 없다.
때로는, 길을 잃는 법부터 배워야 한다.